PM 학습 일지

[제로베이스 PM스쿨 29기]심리학 이론

플랜로그 2024. 9. 20. 11:11

 

심리학 이론을 활용하면

  1. 빠르게 예측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.
  2. 학습 시간을 단축시키고 에러 발생을 낮출 수 있다.
  3. 의사결정에 드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.
  4. 인지과부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.

 

 

▪️ 선택의 역설(Paradox of Choice)

선택의 폭이 넓어질수록 오히려 만족감이 줄어들고, 선택 자체가 더 어려워진다는 심리적 현상이다. 선택지가 많으면 의사결정 과정에서 부담이 증가하고, 선택 후에도 '더 나은 선택을 하지 않았을까?' 하는 후회가 생길 수 있다. 결정 후에도 결정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다.

▶️ 넷플릭스, 티빙에서 수많은 콘텐츠 중에 선택의 폭을 좁히기 위해 추천 카테고리로 나눠 분리했다.

 

▪️ 밀러의 법칙

인간의 단기 기억이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약 7 ± 2개 정도라는 심리학적 이론이다. 이는 사람들이 한 번에 너무 많은 정보를 처리하려고 하면 부담을 느끼고 실수를 하게 된다는 것을 설명한다. 인간은 덩어리화를 활용해 정보를 효과적으로 암기할 수 있다.

▶️ 웹 사이트에서 섹션을 나눠 블럭 형태로 구분해서 내용을 보여준다.

 

▪️ 본 레스토프(Von Restorff Effect)

비슷한 사물이 여러 개 있으면 그 중에서 가장 차이가 나는 한 가지만 기억할 가능성이 크다.
주어진 정보가 반복적이거나 비슷할 때, 독특하거나 차별화된 정보는 더 강하게 기억됩니다.

▶️ 전체적인 색상은 무채색이고, 특정 버튼에 튀는 색상을 입혀 시각적으로 차별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끌어 다음 동작으로 유도한다.

 

▪️ 서열 위치 효과(Serial Position Effect)

목록의 중간 위치항목보다 처음과 끝에 위치한 항목을 더 잘 기억된다는 이론이다. 

▶️ 하단바에서 중요한 정보(, 마이페이지)좌측/우측 끝에 배치하여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.

 

▪️ 피크엔드 법칙

인간은 경험 전체의 평균이나 합계가 아니라, 결정의 순간과 마지막 순간에 느낀 감정을 바탕으로 경험을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.

긍정적인 순간보다 부정적인 순간을 더 생생하게 기억한다.

▶️ 지그재그는 결제 후에, 긍정적인 문구와 일러스트로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, 서비스에 대한 좋은 인상을 남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