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M 학습 일지

[제로베이스 PM스쿨 29기] Super 앱 이해하기

플랜로그 2024. 9. 30. 17:15

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이해

플랫폼

  • 교통수단이 있는 플랫폼(승강장) 주변에 상권이 몰림
  • 공급자와 수요자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이 각자가 얻고자 하는 가치를 공정한 거래를 통해서 교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
애플 스토어 생태계의 탄생
컴퓨터 성능을 가진 모바일 기계(아이폰)의 컴퓨터의 운영체제를 탑재하고 앱스토어에 올림
→ 아이폰은 애플리케이션 판매자와 사용자가 오고 가는 플랫폼이 되었다.

운영 정책, 지원 조직을 더해 플랫폼 스스로 유지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듦

 

 

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유형

  • 스토어 형
    • 가치교환
    • 앱스토어
  • 상거래 형
    • 오픈마켓 맞춤형 서비스
    • 이베이
  • 웹 서비스 게임 비즈 형
    • 클라우드 컴퓨팅
    • 카카오톡
  • 체인 형
    • 가치 사슬 플랫폼 구축, 협업
    • 리앤펑
  • 에이전트 형
    • 거래 서비스 제공
    • 아마존

 

Super App의 등장 배경

블랙베리 창업자인 마이크 라자 라디스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주창했다.

 

 

Super App의 케이스

  • 알리페이
    • 알리바바 쇼핑몰에서 결제 서비스에서 시작함
    • 마윈이 항저우에서 알리바바 창업
    • 보험, 대출 등 금융 서비스로 발전해옴
    • 뿐만 아니라 모빌리티, 청소, 사진찍기 등 O2O 서비스와 같은 미니 프로그램을 제공함

그랩, 구글페이, 아마존페이, 토스(금융 -> 모빌리티 확장), 배달의민족, 야놀자 등이 있다.

 

 

Super App 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- 마이크로 서비스

개발 환경이 같기 때문에 개발하기 편함

신규앱을 하나씩 추가하면 슈퍼앱이 됨

  • 모든 서비스에 마이크로 서비스를 추천하지는 않는다
    • 규모의 경제가 되어서 시스템 규모와 트래픽이 되어서 각각의 담당자가 갖춰진 규모여야지 가능하다고 함
    • 규모의 경제: 생산 규모가 커질수록 단위단 생산비용이 줄어드는 현상. 즉, 생산량 증가 → 고정비용이 여러 제품에 분산되면서 제품당 비용이 감소. ex) 고정비용 10억 10개 생산 → 고정비용 10억 100개 생산

 

Super App은 단일 플랫폼에서 다양한 서비스와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편의성을 높이는 앱 형태다. 앱을 전환하지 않고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경험이 단순해진다. 이는 플랫폼에 대한 의존성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. 대신에 UI가 복잡해지면 오히려 사용성을 헤칠 수 있다. 메뉴가 많은 경우 찾기 어려운 경우에는 메뉴를 찾는 동안 사용자는 지칠 수 있다.

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사용 편의성, 안정성 문제를 잘 해결해야 한다.